
주산기클리닉 -고위험 임인 경우 태아의 기형 발생률이 증가하고, 조산으로 인한 태아의 사망 또는 손상이 발생될 수 있으며, 산모의 뇌출혈, 간출혈, 신장 손상 또는 거대아로 인한 자궁의 손상 및 출혈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산전 진찰과 태아 기형검사, 양수검사, 융모막검사, 3차원 초음파 검사, 칼라도플러검사, 당뇨병 선별검사, 태아 안녕검사 등을 통하여 고위험 임신의 위험 인자를 찾고 산모 및 태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및 부작용을 줄여 정상 출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태아의 기형발생률이 증가
조산으로 인한 태아의 사망 또는 손상이 발생합니다.
산모의 뇌출혈, 간출혈, 신장손상 또는 거대아로 인한 자궁의 손상 및 출혈 등 생명의 위협 및 평생의 후유증을 남길 수도 있습니다.

- 임신 중독증이 잘 생기는 조건
- 경산부보다는 초산부인 경우
- 다태임신인 경우 2~3배 많으며, 더 빨리 나타납니다.
- 기존에 고혈압이 있던 경우
- 산모의 연력이 35세 이상이거나 10대인 경우
- 가족력이 있는 경우

- 당뇨의 가족력이 있는 사람, 특히 직계가족이 있을 때
- 과거 임신에서 임신성 당뇨가 있었을 때
- 당뇨병이 되거나, 임신성 당뇨병 재발률이 약 60%로 높기 때문입니다.
- 과거 혈당 검사에서 장상이었지만 기준의 상한선에 해당된 경우
- 임신 중 태아가 크거나 거대아를 낳은 산모
- 소변에 당이 나오는 사람
- 현재 또는 과거게 원인 불명 태아 사망이 되었거나 있었던 산모
- 임신 전, 과체중인 경우
- 35세 이상
- 면역성 질병 치료를 위해 부신 피질 호르몬을 오랫동안 쓰거나 조기 진통 치료 등을 위해서 혈당을 올릴 가능성이 있는 있는
약을 쓸 때

- 150cm 이하의 신장
- 저체중
- 자궁 내 태아 사망이나 신생아 사망의 경험이 있는 경우
- 태아 기형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
- 과거에 잦은 유산, 기형아, 조산아, 사산아, 거대아의 출산력이 있는 산모
- 자궁 내 태아 발육 부전이 있는 경우
- 자궁 외 임신과 자연 유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
- 자궁 및 자궁 경부의 기형
- 내과적 병력이나 질병(당뇨, 고혈압, 갑상선질환, 심장병, 신장병, 자가 면역 질환 등)을 앓고 있는 경우
- 늦은 산전 진찰 또는 산전 진찰을 받지 않는 경우
- 분만 전 출혈이 있는 경우
- 다태아 임신(쌍태아, 삼태아 등)
- 임신 중독증(임신성 고혈압)
- 양막 조기파열
- 모체 혈약을 통한 트리플 마커 검사(기형아 선별 검사)에서 이상 소견이 있는 경우
- RH 동종 면역(감직된 RH 음성 혈액형인 산모)
- 지연 임신(분만예정일이 1-2주 지난 산모)
- 담배나 약물 복용
- 태아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경우
- 양수과다증 또는 양수과소증을 보이는 경우
- 조기 진통 산모
- 임신성 당뇨병

정기적인 산전 진찰과 태아 기형검사·양수검사·융모막검사·4차원 입체 정밀초음파 검사·당뇨병 선별검사·태아안녕검사 등을 통하여 고위험 임신 인자를 조기에 찾고, 산모 및 태아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합병증 및 부작용을 감소를 통해 정상적인 출산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