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하위메뉴 바로가기

클리닉

  • 내시경클리닉
  • 대장항문클리닉
  • 뇌졸중클리닉
  • 하지정맥류클리닉
  • 통증클리닉
  • 불임클리닉
  • 주산기클리닉
  • 자궁보존클리닉
  • 골반통증클리닉
  • 오시는길
  • 진료시간
  • 의료진소개
  • 비급여항목
  • 서류발급
  • 고객의 소리

상담 및 문의 안내

대표번호 061)689-8114

건강검진센터 061)689-8118, 응급의료센터 061)689-8350 응급의료센터는 24시간 진료가능합니다.

친절한병원, 함께하는 병원 제일병원입니다.

친절한병원, 함께하는 병원 제일병원입니다.

홈 클리닉바 이미지 내시경클리닉

내시경클리닉

위내시경 검사는 식도, 위, 십이지장까지 내시경을 삽입하여 러 종류의 소화기질환을 진단하는데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아주 작은 초기 병변까지 찾아낼 수 있는 가장 정확하고 효과적인 검사입니다. 위암,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식도염 등을 진단하며, 이상소견이 관찰되면 조직검사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필요시에는 치료까지 시행할 수 있습니다.

위내시경 대상자

속쓰림, 식후 상복부 불쾌감, 흉부통증, 소화불량, 식도에 이물감, 연하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와 이전에 궤양을 치료받았던 경우의 재검사, 위절제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의 주기적인 점검 등에 검사가 필요합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위암은 증상없이 발견되는 예가 흔하므로 40세 이상에서는 증상에 상관없이 1년에 1회 이상의 내시경 검사가 조기 위암을 발견하는데 반드시 필요합니다.


  • 상복부 불쾌감 혹은 통증, 신트림, 공복시 복통, 속쓰림이 있을 때
  • 체중감소, 현기증, 간헐적인 흑색변 등이 있을 때
  • 피를 토하거나 위장관 출혈시 지혈작용
  • 상복부 병변부위의 조직검사
  • 위십이지장 궤양의 원인으로 알려진 헬리코박터라는 세균의 검사
  • 위염이나 십이지장궤양 등 상복부 질환 진단받은 경우 정기적으로 검사
  • 위암의 호발연령인 40세이후에는 1년에 한 번씩 검사
  • 식도확장술이나 식도내 삽관할 경우
  • 용종의 제거, 이물제거 등 세밀한 시술인 경우
위내시경 검사과정
  • 검사도중 내용물의 역류를 막고, 병변관찰을 용이하기 위해서는 최소 6-8시간 이상 금식을 해야 합니다.
  • 고혈압이 있으면 의사와 상담후 혈압약을 검사당일 소량의 물로 드세요 (기타 녹내장, 심장질환, 전립선 등의 질환이 있거나 임신부는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내시경 검사 10-20분전에 내시경 검사가 용이하도록 가스제거제(약 10cc)를 삼키고, 이어 경구마취약을 약 10분간 입에 문 다음 삼키거나 밷습니다.
  • 내시경이 처음 목을 지나 식도로 진입될 때 긴장하여 힘을 주게 되면 오히려 검사가 어렵고 목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가능한 한 긴장을 풀고 몸의 힘을 빼십시오.
  • 내시경검사 시간은 3-5분 정도이나, 조직검사나 치료를 하는 경우에는 10-20분 정도 소요될 수 있습니다.
  • 헬리코박터 균 검사가 필요할 경우, 위에서 조직을 2-3군데 떼어내 검사를 시행하며,병변이 관찰될 경우, 내시경을 시술하는 의사의 판단에 따라 조직검사 및 특수염색검사
  • 등을 시행하며, 조직검사 결과는 일주일 내에 확인 가능하며, 이때 추가검사비용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목의 마취가 풀리는 데에는 약 1시간이 걸립니다. 그때까지 음식을 드셔서는 안됩니다.
  • 검사후 복부팽만감과 불편감, 목이 불편한 감을 느낄 수 있으나 1-2일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소실됩니다.
  • 검사 후 드물게 인후통증, 심한 복통, 토혈, 하혈, 흑색변등이 관찰될 경우 즉시 담당의사나 책임간호사에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 위내시경의 소견은 검사후 의사선생님으로부터 바로 들을 수 있습니다. 만약 조직 검사를 한 경우 결과는 약 일주일 후에 나옵니다.



대장내시경검사는 끝에 소형 카메라가 달린 지름 1 cm 정도 되는 긴 관을 항문을 통해 직장과 S상 결장, 하행 결장, 가로 결장, 상행 결장을 거슬러 올라가 대장이 시작되는 오른쪽 아랫배까지 약 1m 정도 집어 넣은 후, 서서히 빼내면서 대장 내부를 카메라가 찍어 보내는 화면을 통해 진단하는 검사입니다.대장 내시경 검사에는 직장만 들여다 보는 직장경검사, 직장으로부터 약 60cm 상방까지 볼 수 있는 에스결장경 검사, 그리고 대장 전체를 들여다 보는 전체대장내시경검사가 있습니다.

대장 내시경으로 진단하는 질환

대장 용종, 장결핵, 대장염,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대장 게실, 그 외의 장염 등을 진단할 수 있고 더불어 이상 병변이 있을 때 조직 검사가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 치료도 병행할 수 있습니다.

대장 내시경으로 검사 하는 경우

대장 질환은 단순 외래 검사만으로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몇 가지 가능한 질환을 감별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 대장 내시경을 하고 있습니다.


  • 장관으로부터의 출혈
  • 원인 불명의 만성설사
  • 염증성 장질환의 진단 및 추적
  • 대장 게실이나 악성질환의 감별
  • 복부(하복부)통증
  • 배변 습관의 갑작스런 변화
  • 조기대장암 발견
  • 가족에 대장암의 병력이 있는 경우
대장 내시경 검사 금기증

대장 대시경은 모든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환자의 요구와 의사의 판단이 잘 조율되어야 하고 다음과 같은 사람들은 대장 내시경을 받을 수 없습니다.


  • 전격성 대장염, 중증 급성 계실염
  • 장천공 의증, 복막염
  • 장폐색
  • 항문의 급성 염증성 변화
  • 혈역학적 불안정
  • 최근 3주 이내의 심근 경색
  • 항 응고제나 항 혈소판 제재 사용중인 환자
대장 내시경 주의사항
  • 장 청소를 하기 위해 처방 해준 약을 드셔야 합니다.
  • 검사 직전까지 물은 충분히 드셔도 되나 검사 3일 전부터는 수박, 참외, 포도와 같은 씨가 있는 과일과 현미밥, 김, 미역 등은 절대로 먹어서는 안됩니다.
  • 혈압이나 당뇨 등의 만성질환이 있으신 분들은 꼭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