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의 질병예방과 조기진단, 포괄적인 건강관리를 위하여 다양한 진단방법을 활용하여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도모하고 사업장의 작업 환경을 측정, 분석, 평가하고 개선책을 제시하며 특수 건강진단 등 근로자 건강진단 및 사루 관리, 질환에 대한 업무 관련성 평가, 직업성이나 환경성 질환에 대한 다른 진료과와 협진 등을 통해 전반적인 보건업무를 대해하여 근로자 및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을 증진하고 있습니다.
- 편마비, 하반신마비, 언어장애, 의식장애, 의식소실, 경련발작, 실신, 근육위축, 기억장애, 보행장애, 운동장애, 시력변화, 두통, 어지럼증, 손떨림, 손저림, 손발저림, 안면마비, 신경통, 근육통, 근육마비, 감각장애, 눈꺼풀 쳐짐, 둘로보임
- 뇌졸중 : 급성기 치료 및 예방 (위험인자 조절)
- 치매 : 치매의 원인별 분류 및 치료 가능 여부 판단
- 두통 : 일차성 두통과 증후성 두통을 구별하고 증상 조절
- 수면장애 :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수면발작 등을 진단
- 안구운동장애/어지럼증 : 원인별 (중심성, 말초성) 감별 진단
- 운동장애 : 파킨슨씨 병 등을 진단
- 말초신경/근육질환 : 손발 저림, 근육위축, 근력저하 등의 원인을 규명
- 간질 : 경련발작의 원인을 규명하고 치료
- 감염 : 뇌수막염, 뇌염 등을 진단하고 치료
- 기타 : 대사성 독성 질환, 선천성 및 유전성 신경계 질환